반응형

 

중국 역사를 보면 명분과 자존심에 목숨을 건 사람보다 남을 신경 쓰지 않고 두꺼운 얼굴로 흑심을 가지고 자기가 하고자 했던 일에 몰입했던 사람이 더욱더 성공했다. 한고조에 유방은 비굴하였지만 최후를 얻었고, 삼국지의 조조는 간계에 능하여 최후의 승리자가 되었다. 이렇게 승리를 위해서 명분과 의리가 아니라 간계와 실리를 강조하는 학문을 후흑학(厚黑學)이라 부른다. 후(厚)는 두꺼운 얼굴이고 흑(黑)은 검은 마음을 의미한다. 두꺼운 얼굴을 방패로, 검은 마음을 창으로 삼아 난세에 생존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철학은 청나라 말기의 지식인 이종오(李宗吾)가 처음 제시한 이래 현재까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체면과 자존심을 강조하는 명분주의도 알아야 하지만 좀처럼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며 실리를 추구하는 후안과 흑심의 마인드도 이해해야 한다.

 

중국의 속담중에 목표 달성을 위해 상대방에게 굽신거리거나 때로는 협박할 수 도 있다는 大丈夫能屈能伸 이란 말이 있다. 대장부는 몸을 굽히고 펴는데 능해야 한다는 것으로 두꺼운(厚) 얼굴과 시커먼(黑) 마음의 마인드를 강조하고 있다.

 

자존심, 명분 등 모두 중요한 덕목이다. 그러나 남의 눈치를 살피며 평가에 연연하여 정작 중요한 결정이나 일을 못하거나 상대방을 동정하는 감상주의에 얽매여 목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은 두꺼운 얼굴로 자기중심을 찾는 사람보다 더욱 못하다고 생각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