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의 사회 분위기는 남자는 쉽게 눈물을 흘려선 안 된다고 한다. 특히 태어나서 3번만 울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금기에 자연스럽게 세뇌당하여 남들 앞에서 눈물을 보이는 것을 꺼려하는 사람이 많다.

 

요즘 같이 어렵고 삭막한 시대엔 눈이 벌게지도록 실컷 울어보는 것도 정신건강에 나쁘지 않다.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는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 잔치를 위한 사절단을 따라 청나라로 들어갈 때 광활한 만주벌판을 보며 ‘참으로 울기 좋은 장소로다! 한번 이곳에서 실컷 울어보고 싶구나!’라고 했다.

 

울기 좋은 장소, ‘호곡장(好哭場)’. 이때 박지원과 동행했던 鄭진사는 호곡장이란 말에 이런 넓은 벌판을 가리켜 왜 하필 울기 좋은 장소란 표현을 쓰냐고 물었다. 연암은 인간의 감정인 기쁨과 분노, 슬픔과 즐거움, 사랑과 증오 그리고 욕심인 희로애락오욕(喜怒愛樂惡慾), 즉 칠정(七情)을 이르며 인간의 울음은 슬퍼서만 우는 게 아니며 위의 칠정(七情)들이 각각 극에 달하면 모두 울음으로 변한다 하였다.

 

그래서일까, 영웅호걸은 잘 우는 사람들이고, 미인은 눈물이 많다. 연암 박지원은 진정한 영웅과 천하의 미인은 모두 잘 우는 사람이라며 리더의 눈물을 긍정했다.

 

눈물은 남자들의 금기 사항이 아니라 영웅들이 갖추어야 할 당연한 감정이다. 차가운 가슴과 냉철한 이성으로 사이코패스와 같은 삶으로 성공에 이르는 것보단 제때 울 줄 아는, 이런 진정성이 이 시대의 진정한 영웅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