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ductivity
Perplexity Pro 1년 무료로 사용하기 ($200 절약)
Perplexity Pro 1년 무료로 사용하기 ($200 절약)
2025.03.30Perplexity는 AI 기반 검색엔진으로 입력한 질문과 연관된 자료를 실시간으로 검색한 뒤 이를 바탕으로 답변을 생성한다. 모든 답변은 출처와 함께 제공되므로 올바른 정보인지 여부를 쉽게 검증할 수 있다. 요즘엔 구글 검색보다 Perplexity를 먼저 찾을 정도로 편리하다. Perplexity 요금제는 크게 Free/Pro로 나뉜다. Pro 회원은 하루 300회 이상 프로 검색(복잡한 쿼리 처리)을 이용할 수 있고, Claude 3.7 Sonnet, o3-mini 같은 고급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덤으로 월 $5 API 크레딧도 제공한다. 실시간 검색 결과는 선택한 AI 모델을 통해 처리되기 때문에 어떤 모델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답변 퀄리티가 달라진다. Perplexity Pro 가격은 한 달 ..
Cloudflare를 활용한 무료 브랜디드 링크(단축 URL) 만들기
Cloudflare를 활용한 무료 브랜디드 링크(단축 URL) 만들기
2025.03.15브랜디드 링크는 도메인을 활용한 맞춤형 단축 URL이다. 예를 들어 abc.com/123... 같은 긴 주소를 자신의 도메인을 이용해 짧고 직관적인 링크로 변환할 수 있다. bit.ly 같은 주소 단축 서비스에서도 브랜디드 링크 기능을 제공하지만, Growth 유료 플랜(월 $29) 이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Cloudflare에 도메인을 등록했다면 Sink 라는 무료 오픈소스를 통해 자신만의 짧은 주소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브랜디드 링크뿐만 아니라 애널리틱스, 링크 유효기간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현재도 활발하게 개발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다. 브랜디드 링크 - 도메인 연동 및 맞춤형 단축 URL 생성애널리틱스 - 방문수, 리퍼러, 지역, 디바이스, 언어, OS 등 통계 제공링크 유효..
[시놀로지 나스] 와일드카드 인증서 적용하기(acme.sh) / Plex 인증서 설정
[시놀로지 나스] 와일드카드 인증서 적용하기(acme.sh) / Plex 인증서 설정
2025.03.10와일드카드 인증서는 단일 도메인과 모든 하위 도메인을 보호할 수 있는 SSL/TLS 인증서로(*.domain.com), 여러 서브도메인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다. 와일드카드 인증서를 발급하려면 DNS-01 챌린지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을 인증해야 한다. 아쉽게도 시놀로지 나스의 기본 기능만으로는 DNS 레코드를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와일드카드 인증서를 발급할 수 없다. 이 문제는 acme.sh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acme.sh는 DNS 인증 과정을 자동화하여 와일드카드 인증서를 손쉽게 발급하고 갱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시놀로지 나스에서 인증서를 갱신하려면 80/443 포트를 개방해야 하지만, acme.sh는 이러한 포트 개방이 필요 없어서 보안상 훨씬 유리하다. acme.sh의..
[시놀로지 나스] Nas에서 Cloudflare DDNS 사용하기 (도커 방식)
[시놀로지 나스] Nas에서 Cloudflare DDNS 사용하기 (도커 방식)
2025.02.10도메인 네임서버로 Cloudflare를 사용한다면 Cloudflare API를 활용해서 DDNS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없이 API 호출만으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자신의 도메인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DuckDNS 같은 서비스는 *.duckdns.org 형태의 서브도메인만 제공하므로 원하는 도메인을 직접 사용할 수 없다. 시놀로지 Nas에서 Cloudflare를 연동하는 방법은 크게 작업 스케줄러에 스크립트를 등록하는 방식과 Docker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방식이 있다. 두 방법 모두 설정하는데 크게 어렵지 않지만 환경변수를 통해 설정을 관리하기 용이한 Docker 방식을 추천한다. 기본적으로 1개 도메인(example.com)에 대한 여..
[크롬 확장] 페이지 목차를 팝업으로 표시해주는 - Smart TOC
[크롬 확장] 페이지 목차를 팝업으로 표시해주는 - Smart TOC
2025.02.03긴 내용을 읽다 보면 이전 또는 다음 단락으로 이동해야 할 때가 많다. 하지만 매번 마우스로 스크롤해서 원하는 단락을 찾기 번거롭기 때문에 소제목을 기준으로 탐색하면 훨씬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런 소제목들은 목차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 같은 사이트는 사이드바에 목차를 제공하고 현재 보고 있는 단락의 소제목은 굵게 강조 표시된다. 아쉽게도 많은 사이트는 위키피디아 같은 목차를 따로 제공하지 않는다. Smart TOC 라는 크롬 부가기능을 사용하면 현재 페이지의 제목 태그(h1, h2, ...)를 기준으로 사이드바 혹은 플로팅 메뉴 형태로 목차를 볼 수 있다. 부가기능을 설치하고 툴바에 있는 Smart TOC 아이콘을 클릭하면 목차 플로팅 메뉴가 표시된다. 플로팅 메뉴 위치는 드래그해서 ..
Cloudflare DNS 레코드 설정 방법 (티스토리, Vercel 등 오류 해결)
Cloudflare DNS 레코드 설정 방법 (티스토리, Vercel 등 오류 해결)
2025.02.02얼마 전 도메인 네임 서버(DNS)를 AWS Route 53에서 Cloudflare로 옮겼다. Route 53은 호스팅 영역당 매월 $0.5 비용이 발생하고(추가 호스팅 영역은 $0.1) 100만 쿼리당 $0.4 누진 과금이 적용된다. 반면, Cloudflare는 이러한 비용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loudflare 프록싱을 활성화하면 별도 설정 없이 CDN을 사용할 수 있고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 DDoS 보호 등 다양한 보안 기능도 무료로 제공한다. 규모가 크지 않은 웹사이트라면 비용/기능 면에서 Cloudflare가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오늘은 티스토리, Vercel 등의 DNS 레코드를 설정할 때 발생했던 문제와 해결 방법에 대해 정리해 봤다. 티스토리레코드 설정유형..
[macOS] 맥에서 잘라내기 단축키 사용하기 - Command X
[macOS] 맥에서 잘라내기 단축키 사용하기 - Command X
2025.01.31윈도우(Windows)는 파일/폴더를 선택하고 ctrl + x 잘라내기 단축키를 누른 후, 다른 위치에서 붙여 넣기 하면 원래 위치에 있던 파일/폴더가 해당 위치로 이동한다. 아쉽게도 맥(macOS)에선 윈도우의 잘라내기 같은 단축키가 없다. 대신 이와 유사한 (복사한)파일 이동 단축키를 제공한다. (파일/폴더 선택 후) 복사: command + c(다른 폴더에서) 이동: command + option + v 하지만 command + option + v 단축키를 누르는 게 은근히 불편해서 잘 사용하지 않게 된다. 그러던 중 맥에서도 윈도우의 잘라내기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Command X 무료 앱을 발견했다. 이 앱은 Gifski, Refined GitHub, Menu Bar Calenda..
[시놀로지 나스] Nas 메인 하드디스크 교체하기
[시놀로지 나스] Nas 메인 하드디스크 교체하기
2024.11.13얼마 전 6년간 사용했던 Western Digital 하드디스크가 사망했다. 처음엔 볼륨 충돌 관련 메시지가 뜨더니, 결국 인식조차 안 되는 상태에 이르렀다. 다행히 메인 하드디스크(1번 드라이브 베이)가 아니라서 DSM은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 메인 하드디스크 용량은 4TB 밖에 안 돼서 항상 부족하다고 느꼈었는데, 이 참에 훨씬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로 바꿔줬다. DSM 설정, 파일 등 기존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드디스크를 교체하려면 하드디스크 복사기(HDD 도킹스테이션)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깔끔하다. 하드디스크 복사기는 2~3만원이면 구매할 수 있고 복사 과정도 버튼 한 번만 누르면 되는 정도로 쉽다. 오늘은 DSM 메인 하드디스크 교체 과정을 소개해보려고 한다. 하드디스크 복사?..
[시놀로지 나스] 포트 개방 없이 원격에서 SMB 접속하기 - Tailscale
[시놀로지 나스] 포트 개방 없이 원격에서 SMB 접속하기 - Tailscale
2024.06.10원격(외부) 네트워크에서 SMB에 접속하려면 139, 445(맥북 연결 시) 등의 포트를 개방해야 된다. 하지만 이러한 포트들은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SMB 프로토콜은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보안 취약성을 최소화하면서 원격에서 접근하려면 로컬 네트워크에 VPN을 구축하는 것이 좋다. OpenVPN, WireGuard 등 사설 VPN을 구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Tailscale을 사용하는 게 가장 편리하다. Tailscale은 WireGuard를 이용한 사설 Mesh Network 서비스다. Tailscale에 연결된 장치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것처럼 작동한다. Tailscale은 설정이 거의 필요 없고 SSO 로그인을 사용하므로 보안 문제가 발생할 일도 적다...
[미립자팁] Notion 노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열(컬럼) 너비 최소화하기
[미립자팁] Notion 노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열(컬럼) 너비 최소화하기
2024.06.10노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열(컬럼) 제목의 오른쪽 경계선을 클릭하고 좌우로 드래그하면 해당 열의 너비를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열 너비는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 조정할 수 있지만, 일정 너비 이하로는 줄일 수 없다(데이터베이스 속성 유형에 따라 최소 너비가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Option(또는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열 너비를 약 30픽셀 정도로 최소화할 수 있다. 30픽셀은 체크박스 정도의 크기로, 특정 열의 첫 글자만 표시하거나 모든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을 때 유용하다.
[Notion] 노션에서 직선 인용 부호 입력하기 (따옴표/대시 등 스마트 인용 부호 자동 변환 취소)
[Notion] 노션에서 직선 인용 부호 입력하기 (따옴표/대시 등 스마트 인용 부호 자동 변환 취소)
2024.06.10macOS는 입력 소스 설정 화면에서 "스마트 인용 부호 및 대시 사용"이라는 옵션을 제공한다. 입력 소스 설정은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입력 소스 항목에서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다. 이 설정 화면에서 큰따옴표, 작은따옴표의 표시 방식을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스마트 인용 부호 옵션을 활성화하면 직선 인용 부호를 곡선 인용 부호로 자동 변환한다. 또한 일반 하이픈(-)을 연속으로 두 번 입력했을 때 알파벳 M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em 대시(—)로 변환된다. 곡선형 부호는 인용의 시작과 끝 지점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일부 프로그램에서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VSCode 같은 코드 편집기는 문자열을 입력할 때 직선 인용 부호를 사용하는데..
[시놀로지 나스] 로컬 HTTPS 접속을 위한 사설(자체 서명) 인증서 적용 방법
[시놀로지 나스] 로컬 HTTPS 접속을 위한 사설(자체 서명) 인증서 적용 방법
2024.06.09시놀로지 나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도메인이나 DDNS에 Let's Encrypt 인증서를 발급받아서 적용한다. 필자 역시 비슷한 구성으로 사용하다가, 보안을 위해 80, 443 같은 포트 개방을 모두 해제하고 Tailscale(VPN 터널링 서비스)을 설정했다. 그럼 내부(로컬)/외부(원격)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나스는 항상 Tailscale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다. 만약 로컬 네트워크에 있을 때 Tailscale이 꺼진 상태에서 나스에 접속하려면 192.168.1.4 같은 사설 IP를 입력해서 접속해야 한다. DSM 제어판에서 HTTP 연결은 HTTPS로 리디렉션 되도록 설정했기 때문에 자동으로 HTTPS로 연결된다. 하지만 아래 이미지처럼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경고 메시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