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
[시놀로지 Nas] 로컬 HTTPS 접속을 위한 사설(자체 서명) 인증서 적용 방법
[시놀로지 Nas] 로컬 HTTPS 접속을 위한 사설(자체 서명) 인증서 적용 방법
2024.06.09시놀로지 나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도메인이나 DDNS에 Let's Encrypt 인증서를 발급받아서 적용한다. 필자 역시 비슷한 구성으로 사용하다가, 보안을 위해 80, 443 같은 포트 개방을 모두 해제하고 Tailscale(VPN 터널링 서비스)을 설정했다. 그럼 내부(로컬)/외부(원격)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나스는 항상 Tailscale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다. 만약 로컬 네트워크에 있을 때 Tailscale이 꺼진 상태에서 나스에 접속하려면 192.168.1.4 같은 사설 IP를 입력해서 접속해야 한다. DSM 제어판에서 HTTP 연결은 HTTPS로 리디렉션 되도록 설정했기 때문에 자동으로 HTTPS로 연결된다. 하지만 아래 이미지처럼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경고 메시지가 ..
[Git] SSH 공개키 만들기 / Credential 인증 시스템
[Git] SSH 공개키 만들기 / Credential 인증 시스템
2024.04.26Credential 저장소 / HTTPS 프로토콜Git 리모트 저장소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Git(기본 프로토콜), SSH, HTTPS 방식이 있다. Git 기본 프로토콜은 인증 기능이 미약하여 거의 사용하지 않고, 주로 SSH나 HTTPS를 사용한다.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매번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Git은 이를 위해 인증 정보를 저장해두고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Credential 시스템을 제공한다. Credential 기능에서 제공하는 옵션은 아래 3가지가 있다. cache 모드 : 인증정보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기본 15분)store 모드 : 인증 정보를 텍스트 파일로 Disk에 저장.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일반 텍스트 파일로 저장되므로 인증 정보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