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창업 과잉사회 - 한국
창업 과잉사회 - 한국
2016.03.06우리는 종종 젊은이들한테 용기를 갖고 창업을 해보라고 권합니다. 남이 나를 고용해주기를 기다리지 말고, 내가 나를 스스로 고용하라고, 그게 바로 평생직장인 거라고 충고합니다. 그러면서 창업에 성공한 미국 젊은이들의 사례를 쭉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그전에 우리가 생각해볼게 하나 있습니다. 미국은 전체 근로자의 92%가 회사원이고요 8%만 자영업자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전체 근로자의 68%만 회사원이고 32%가 자영업자입니다. 비유하자면 미국은 9명이 직장인이고 1명인이 식당주인이라서 직장인 9명이 한곳의 식당에 밥을 먹으러 오는 그런 구조인데, 우리나라는 7명이 직장인이고 3명이 식당주인인 즉 그런 구조입니다. 통계만 보자면 젊은이들한테 창업하라고 권할 게 아니라 오히려 취직하라고 유도해야 하는 그런 ..
[책 속의 밑줄] 잉여사회
[책 속의 밑줄] 잉여사회
2013.11.2088만 원 세대, 20 대개 새끼론에 이어 이젠 3포 세대까지 나왔다. 연애, 결혼, 출산 세 가지를 모두 포기했다는 말이다. 이에 허덕이는 취업난까지 더하면 4포 5포 10포 세대까지 등장할 기세다. 젊은이들은 스스로 잉여라고 말한다. 상상하고 꿈꾸는 나의 꿈, 미래의 모습과 멋진 커리어를 생각하며 밤에 설레어 잠을 못 이뤄야 하는 청춘들은 도리어 고개를 떨구며 힐링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래서 각종 유명 인사가 나와 포기하지 말라면 힐링 어린 경험담들을 이야기한다. 잉여사회의 저자는 우리 사회가 이토록 잉여스럽게 변한 이유를 그만의 관점으로 속 시원하게 풀어냈다. 가볍게 읽기 시작했지만 책을 덮는 순간까지 가벼울 수 없었던 그의 논리와 함께 잉여의 관점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해 준다. 이 시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