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Git] RSS 글 발행 시(티스토리 등) GitHub 자동 커밋 방법
[Git] RSS 글 발행 시(티스토리 등) GitHub 자동 커밋 방법
2024.07.03GitHub에서 사용자 이름(username)과 동일한 이름으로 public 레포지토리를 생성하고 RRADME.md 파일을 추가하면 프로필 페이지 상단에 README 내용이 표시된다. 프로필 페이지엔 주로 자신이 소개하고 싶은 프로젝트, 기술 스택 등을 기재한다. 카테고리별로 주목할만한 프로필 페이지를 모아둔 사이트도 있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어서 그런지 Latest Blog Posts 헤더에 최근 글 목록을 보여주는 프로필이 많다. 이 기능은 rss-parser 같은 라이브러리를 통해 RSS 피드 목록을 불러오고 README.md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이 작업을 GitHub Actions를 통해 정기적으로 수행하도록 만들 수 있다. RSS 설정먼저 자신의 블로그 혹은 ..
온라인 광고 업체 및 티스토리 위치별 광고 삽입 방법 정리
온라인 광고 업체 및 티스토리 위치별 광고 삽입 방법 정리
2013.12.01요즘 국내 여러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면 아티클 상하단 혹은 사이드바에 설치된 광고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유입자가 많아질수록 광고 노출이 많아져 취미로 시작했던 블로그를 수익의 주업으로 삼는 분들도 많은데요. 광고 수입에 너무 연연하다 보면 진정성 있는 포스팅과 점점 거리가 멀어져 글의 퀄리티가 추락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지만 적절히 활용하면 꾸준히 블로그를 유지할 수 있는 모멘텀이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국내 온라인 광고 대행업체와 티스토리 위치별 광고 삽입 방법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광고 용어CTR - Click through rate클릭율, 광고 노출수 대비 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한 수치로 비용 지불. CTR = 클릭수/노출수*100CPC - Cost Per Click가장 ..
[추천]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과 어울리는 배경음악 플레이어 - Scmplayer
[추천]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과 어울리는 배경음악 플레이어 - Scmplayer
2013.04.21네이버 등의 블로그와 달리 티스토리에는 자체적으로 배경음악을 등록하는 위젯이나 플러그인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기존 여러 가지 음악 재생 위젯 등이 나왔지만 블로그 스킨과 어울리지 않는 이질감 등의 이유로 사용을 꺼려해 왔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Scmplayer는 블로그 최상단이나 하단에 긴 스틱 형식의 플레이어를 제공해 스킨의 디자인을 기본적으로 살리면서 배경음악 플레이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소스는 Youtube나 SoundCloud에서 가져와 자유롭게 원하는 음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용방법 또한 매우 간단합니다. 잔잔한 재즈나 피아노곡을 추가해 분위기 있는 블로그를 만들어보세요..^^ 📌 Scmplayer 홈페이지 1. 적용 예시 스킨 설정 - 음악 추가 - 기본 설정의 3가지 단계만 ..
블로그 글 양쪽 정렬로 더욱 깔끔하게 보기
블로그 글 양쪽 정렬로 더욱 깔끔하게 보기
2010.02.15긴 글의 블로그 작성 즉 왼쪽부터 오른쪽 끝까지 글자로 꽉~찬 글 작성을 마치고 보면 우측에 글자가 제대로 정렬이 안돼 있어서 미간상 약간 지저분하게 보입니다. 이것은 스킨의 HTML에 한 줄만 추가해줌으로써 더욱더 깔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적용 예를 먼저 보도록 하죠. 아래 적용 후에 오른편 빨간색 막대기 부분을 보시면 글이 더욱더 깔끔하게 정렬되어 가독성이나 미간상으로도 더욱더 보기 좋게 보입니다. 적용 방법은 스킨의 HTML/CSS 편집 모드로 가신 뒤.. CTRL + F 버튼을 눌러 찾기에서. article { 를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그리고 } 가로 안에 아래 코드를 입력합니다. text-align:justify 수정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되겠죠. (스킨마다 코드의 내용은 약간 다르나 기..
블로그 방문자 수 높이기 :: 사이트 등록, 메타블로그 등록
블로그 방문자 수 높이기 :: 사이트 등록, 메타블로그 등록
2010.02.14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 사이트에 내 블로그 등록하기제 블로그는 직접 Direct로 들어오는 유저 보다는 검색 유입을 통해 들어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블로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대형 포털 사이트에 자신의 블로그를 등록하면 등록하지 않은 것 보다는 여러모로 이점이 많기 때문에 등록해두는 것이 좋겠죠. 이는 전화번호부에 입력된 전화번호와 비슷한 형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사이트 등록은 모든 블로그가 가능한 것이 아니고, 풍부한 컨텐츠와 확실한 주제를 가지고 포스팅 한 블로그가 등록되게 됩니다. 유명 파워블로그의 경우는 포털 사이트가 알아서 등록해주기도 합니다. 물론 펌로그 등과 같은 속이 텅텅 빈 블로그는 당연히 사이트 등록에서 거절 당하겠죠. 제 블로그가 컨텐츠가 풍부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