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책, 영화 음악 감상기 공유 사이트 - Retoric
책, 영화 음악 감상기 공유 사이트 - Retoric
2012.09.10클리앙에 소개되었던 사이트인데 꽤 괜찮은 사이트여서 이렇게 저도 소개합니다. 일단 이용자가 포화상태인 타 사이트와 달리 비교적 적은 유저들로 구성되어 있어(아직까지는?) 음악이나 책 등과 관련된 콘텐츠들이 비교적 괜찮은 편입니다. 그리고 사이트의 인터페이스를 비롯한 외관도 깔끔하면서 이용하기 참 편리한 사이트입니다. 소수로 구성된 유저들과 자기가 좋아하는 소소한 책 영화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https://retoric.net
찌꺼기의 과잉과 새로운 검열방법
찌꺼기의 과잉과 새로운 검열방법
2011.09.04옛날에는 체제에 도전하는 서적들을 간행하지 못하게 하는 노골적인 검열 방법을 통해 각종 정보를 대중으로부터 차단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검열 양상은 예전과 사뭇 다르다. 이제는 예전처럼 정보를 차단하지 않고 정보(불필요한)들을 무차별적으로 범람시키는 검열 방법을 택했다. 이 방법은 현재까지도 아주 효과적인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무의미한 각종 정보들 속에서 사람들은 정작 중요한 정보가 어떤 것인지 갈피를 잡지 못한다. 텔레비전 채널이 늘어나고 인터넷 TV가 생겨나고 한 달에 수천 종의 소설이 쏟아져 나오며, 온갖 종류의 비슷한 음악들이 어느 곳에나 퍼져 나가는 상황에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움직임을 찾아보기란 매우 힘들게 되었다. 설령 새롭고 독창적인 움직임이 출현한다 해도 대량 생..
한국 문화유산의 양면성
한국 문화유산의 양면성
2011.07.16얼마전 성공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기회와 노력, 해운이 모두 따라주었다는 내용을 분석한 말코 글래드웰의 를 흥미롭게 봤다. 그 중 한국의 문화적 유산을 다룬 1997년 대한항공 비행기 추락사고를 다루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윗사람에게 예의를 갖춘다는 이유로 간접적으로 돌려말하는 '완곡어법'을 사용하는 우리의 언어습관이 1분1초의 판단에 따라 생사가 갈리는 때에 위험요소가 된다고 주장했다. 아래 책에서 나온 예를 보자. 과장 - 날씨도 으스스하고 출출하네 (한 잔 하러가는 게 어때?)회사원 - 한 잔 하시겠어요? (제가 술을 사겠습니다)과장 - 괜찮아, 좀 참지 뭐 (그 말을 반복한다면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하지)회사원 - 배고프실 텐데, 가시죠? (저는 접대할 의향이 있습니다)과장 - 그럼 나갈까? (받아..
중국의 테이블 매너
중국의 테이블 매너
2009.03.121. 맛있다고 접시를 싹싹 비웠다간 큰일 - 한국에선 음식을 남기면 결례다 - 중국에선 접시를 완전히 비우는 것이 결례다. 그릇을 싹싹 비우면 준비한 요리가 부족하다는 뜻으로.. 주인이 생각하고 미안해한다. 2. 생선은 뒤집지 않는다. '배가 뒤집힌다' 는 뜻으로 불길하게 생각한다. 3. 술이나 찾주전자 주둥이가 사람을 향하게 놓지 않는다. 그 사람이 구설수에 오르게 된다고 믿는다. 4. 밥을 먹을 때는 고개를 든다. 중국에서는 개, 돼지들이 고개를 숙이고 먹는다고 생각한다. 5. 밥공기를 손으로 들고 먹는다. 밥은 젓가락으로 먹는다. 밥을 들고 먹는것에는 '내 밥은 내가 벌어먹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6. 젓가락을 밥에 꽂지 않는다. 특히 젓가락을 X자로 두지 않는다. 사당이나 절에서 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