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 최고의 영화 - 화양연화
반응형

왕가위 감독 영화를 처음 접한 건 중국 생활을 한 지 1년째에 2046이란 영화가 나올 때였다. 영화관에서 봤는데 대부분 못 알아듣고 느낌으로 넘겨짚었다. 하지만 내용은 모르지만 분위기 때문에 이미 매료됐다. 몇 년 후 우연히 화양연화를 중국어 자막으로 봤다. 환상적이었다. 내가 여태껏 갈망했던 그런 영화였다. 특히 왕가위 영화 특유의 색감이 너무 마음에 들었다.
알고 보니 2046이 화양연화의 연장선상이었다. 그리고 두 영화를 처음부터 다시 봤다. 수십 번은 넘게 봤다. 왕가위 영화의 화려한 영상과 수려한 음향의 기가 막힌 조화, 더불어 영화관에서 함께했던 時光을 회상하며. 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왕가위 영화의 후유증인 듯싶다. 그리고 나는 되물었다, 내 인생의 花样年华는 언제일까, 혹시 그때가 나의 花样年华였을까?
동사서독, 중경삼림, 타락천사, 해피투게더, 아비정전, 첫사랑 그리고 가장 최근인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까지 왕가위 감독의 영화를 모두 봤다. 최고였다, 정말 하나도 버릴 게 없었다. 그리고 동시에 늦은 감이 있지만 장국영(ㅜㅜ)과 양조위 팬이 되어버렸다. 특히 양조위는 너무 멋있다, 최고다.

미리 이별 연습을 해 봅시다
- 영화 中
반응형
'✏️ Top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의 모호함 (0) | 2012.09.03 |
---|---|
150 가지의 할 일, 자이가르닉 효과 (0) | 2012.08.31 |
여름날 외롭니? (2) | 2012.08.28 |
주저하지 말자 (0) | 2012.05.09 |
한 여자와 오래사는 방법 (0) | 2012.05.0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언어의 모호함
언어의 모호함
2012.09.03간혹 단서가 부적절할 때는 소통이 어려워지게 마련이다. 이메일이나 전화 통화가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할 때보다 오해의 소지가 많다. 그리고 우리가 청중 앞에서 직접 이야기할 때도, 우리가 구사하는 애매한 문장들을 사람들이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다. 사람들이 실제로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는데도 제대로 이해했다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에게 문법적으로 애매한(영어) 다음과 같은 문장들을 큰소리로 읽으라고 요구했다. "Angela shot the man with the gun" (앤젤라는 총으로 그 남자를 쏘았다) 여기서 총은 앤젤라의 살인 무기였을 수도 있고, 피해자가 마침 들고 있던 총일 수도 있다. 이 문장이 뜻하는 바가 상대방에게 성공적으로 전… -
150 가지의 할 일, 자이가르닉 효과
150 가지의 할 일, 자이가르닉 효과
2012.08.31심리학자들 사이에 떠도는 이야기다. 1920년대 중반 베를린 대학교 근처 식당에서 점심을 먹을 때 시작되었다. 대학 관계자 여러 명이 식당에서 한 명의 웨이터에게 점심을 주문했는데, 웨이터는 이들의 주문을 메모도 하지 않았다고한다 . 그럼에도 주문한 음식은 정확하게 나왔고, 사람들은 그의 정확한 기억력에 감탄했다. 사람들은 식사가 끝나고 자리를 떴다. 그런데 그중 한 명이 자리에 두고 온 물건을 찾으러 식당으로 다시 갔다. 그는 아까 그 웨이터의 뛰어난 기억력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웨이터는 그 사람이 누구인지, 어느 자리에 앉았었는지 조차 기억하지 못했다. 어떻게 그토록 짧은 시간에 전부 잊어버릴 수 있느냐고 묻자, 웨이터는 음식이 나와 서빙을 할 때까지만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와 비슷한… -
여름날 외롭니?
여름날 외롭니?
2012.08.28이따금 외로움을 느끼긴 하지만 '이 정도라면 나쁘지 않은걸'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말하자면 요즘 해질녘 하늘이 너무 예뻐서 외로운 것도 다 잊고 앉아서 쳐다보다가, 문득 '아, 옆에 누군가 있었으면 좋았을텐데,'라고 생각하고는 아주 잠깐 외로움을 느끼는 거죠. 하지만 곧 잊어버립니다. -
주저하지 말자
주저하지 말자
2012.05.09여태껏 살아오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충고하고 힘을 주는 것에 인색했다. 모든 세상사가 그렇듯 온갖 어려움을 겪으며 결국은 혼자서 극복하고 뚫고 나가는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옆에서 누군가가 도와주거나 힘을 주는 격려의 말을 하면 오히려 맥 빠질 것이라 생각하고 주제넘게 충고하고 격려하는 것을 피해왔다. 하지만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절망에 빠진 젊은 세대의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하는 것은 죄악이다. 정봉주, 中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