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진화 심리학자인 제프리 밀러(Geoffrey Miller)는 이타적 행동과 과시적 소비를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인간의 과시적 소비는 생존을 위한 것으로, 개인이나 집단의 우수한 특질을 광고하는 역할을 한다.

자신의 우수함을 남들에게 알리는 것은 생존에 유리하다. 밀러가 제시한 여섯 가지 우수한 특질, 즉 지능, 개방성, 성실성, 친화성, 정서적 안정성, 외향성(GOCASE)은 금전적 부나 권력과는 별개이다.

과시적 소비와 이타적 행동이 연결되는 이유는 이 여섯 가지 특질을 소비 행위로 과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타적 행동은 개인의 우수한 특질을 가장 효과적으로 "광고"하는 수단이다. 한 사람이 자신의 우수한 특질을 광고하려면, 그 본질에 속임이 없어야 한다. 요 몇 년간 이슈가 된 "명품"을 소유하는 것만으로는 그 사람의 우수한 특질을 전달할 수 없다. 명품이 빌린 것이거나, 짝퉁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명품을 통한 자기광고는 단순히 돈이 많다는 신호에 그친다.

반면, 이타적 행동은 개인의 우수한 특질을 꾸밈없이 드러낸다. 이타적 행동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재산 등의 요소가 있다는 것은 개인이 뛰어난 품성을 지니고 있음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이는 전전두엽이 잘 발달된 사람들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인간의 본래 특성은 이기적이지만, 사회가 형성되면서 전전두엽이 발달하여 이타적 행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이기적인 사람들은 대체로 무능하다고 볼 수 있다. 전전두엽이 변연계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해 이기적 행동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이타적 행동은 그 사람이 우수한 뇌를 가지고 있음을 "광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국내에 출시되어 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아이폰과 고가의 다이아몬드로 장식된 다이아몬드폰을 비교해보자. 다이아몬드폰을 사용하는 것은 자신이 돈이 많다는 것을 과시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휴대전화는 빠르게 구식이 되기 때문에, 다이아몬드가 박힌 휴대전화는 개인의 지능이나 성품을 제대로 광고하지 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