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Nas] 시놀로지 나스에서 Cloudflare DDNS 사용하기 (도커 방식)
[Nas] 시놀로지 나스에서 Cloudflare DDNS 사용하기 (도커 방식)
2025.02.10도메인 네임서버로 Cloudflare를 사용한다면 Cloudflare API를 활용해서 DDNS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없이 API 호출만으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자신의 도메인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DuckDNS 같은 서비스는 *.duckdns.org 형태의 서브도메인만 제공하므로 원하는 도메인을 직접 사용할 수 없다. 시놀로지 Nas에서 Cloudflare를 연동하는 방법은 크게 작업 스케줄러에 스크립트를 등록하는 방식과 Docker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방식이 있다. 두 방법 모두 설정하는데 크게 어렵지 않지만 환경변수를 통해 설정을 관리하기 용이한 Docker 방식을 추천한다. 기본적으로 1개 도메인(example.com)에 대한 여..
도커(Docker)와 쿠버네티스(Kubernetes) 기본 개념
도커(Docker)와 쿠버네티스(Kubernetes) 기본 개념
2024.09.17들어가며과거에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그러나 이제는 컨테이너 기술의 도입으로 이를 표준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다 보면 컨테이너 관리 도구와 관련한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그래서 도커, 쿠버네티스 그리고 다중 클러스터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정리해 봤다. 도커 (Docker) 쿠버네티스를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도커(Docker)에 대해 알아야 한다. 2013년에 탄생한 도커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과 소스 코드를 함께 패키징하여 하나의 컨테이너 이미지로 만드는 혁신적인 방식을 제안했다. 컨테이너 이미지는 그 자체가 바이너리 파일이기 때문에 바로 배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