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화 심리학자인 제프리 밀러(Geoffrey Miller)는
이타적 행동과 과시적 소비의 모습을 진화심리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 인간의 과시적 소비는 생존을 위한 것이고, 개인,집단 등의 우수한 특질을 광고 할 수 있다.
자기가 우수하다는 것을 남들에게 알리면 살아가는데 유리한 점이 많다. 그런데 그 우수한 특질(特质)이란 것은 금전적으로 많은 돈이 있다거나, 권력 등의 힘이 세다는 것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가 뽑은 여섯 가지의 우수한 특질은 바로 지능, 개방성, 성실성, 친화성, 정서적 안정성 그리고 외향성인 "GOCASE"이다.

과시적 소비와 이타적 행동이 서로 연결되는 이유는 바로 이 여섯 가지 특질을 소비 행위로 과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타적 행동을 하는 것은 개인의 우수한 특질을 "광고"하는데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자기의 우수한 특질을 광고하려면, 그 본질(本质)자체에 속임이 없어야 한다. 요 몇 년새 이슈가 되는 이른바 "명품"을 들고 다니는 것으로는 그 사람의 우수한 특질을 전달 할 수 없다. 그 명품이 빌린 것이거나, 매우 정교한 중국산 짝퉁일 수도 있다. 거기다 "명품"을 이용한 자기 광고는 비단 개인이 돈이 많다는 신호를 표출하는 데에만 급급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타적 행동은 개인의 우수한 특질을 꾸밈 없이 곧이 그대로 나타낸다. 그것은 바로 이타적 행동을 할 수 있는 시간, 재산 등의 요소가 있다는 것이고,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것을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 있을 만큼 뛰어난 품성이 있다는 얘기다. 왜냐하면 이런 사람들은 전전두엽이 잘 발달돼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인간 본래의 특성은 이기적이며 개인적인 것인데, 사회가 형성되면서 생긴 전전두엽 덕분에 이타적인 행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반대로 이기적인 사람들은 대체로 무능한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전전두엽이 변연계를 제대로 컨트롤하지 못해서 생겨버린 것이 이기적인 행위이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것은 바로 그 사람이 우수한 뇌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광고"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최근 국내에 출시된 후 근시안적인 이익 추구에 급급한 한국의 이동통신 업체들의 태도를 변화 시켜 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①아이폰(물론 이 외에도 엡스토어 등과 같은 많은 이점이 있다)과 빛나는 고가의 보석 다이아몬드로 도배한 ②다이아몬드폰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어떤 사람이 다이아몬드폰을 사용한다는 것은 자신이 돈이 많다는 것을 과시할 수 있다. 허나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현대의 휴대전화 기기는 1년만 지나도 금방 구식이 되어버리고 만다. 이런 상황에서 고가의 다이아몬드가 박힌 핸드폰을 들고 다니는 것은, 뇌의 우수한 특질인 지능과 개인의 성품을 제대로 광고해줄 수 없다.
반응형